PSNR(peak signal to noise rate)이란?
위키피디아 : http://en.wikipedia.org/wiki/Peak_signal-to-noise_ratio
아래 내용 출처 : http://blog.naver.com/forey73?Redirect=Log&logNo=70007165272
요컨데 수치가 높을 수록 노이즈에 대한 저항력이 크다.
다시 말해 동영상 퀄리티가 더 높다.
하지만 30 이상에서는 육안으로 퀄리티 판단이 어렵단다...
===================================================================================
PSNR(peak signal to noise rate)이란?
SNR을 구할 때는 10log(신호전력/ 잡음전력)으로구합니다. 이 때 신호전력과 잡음전력은 모두 "평균전력"을 의미합니다.
PSNR은 평균전력을 이용하지 않고 peak 전력을 이용하여 SNR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신호에 순간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최대 전력으로 계산하는 것이지요.
예를 들어서 정현파 교류신호의 최대전력과 평균전력은 2배 차이가 됩니다. 교류 삼각파 신호는 3배 차이가 납니다. 교류 구형파는 같습니다.
따라서 사용된 신호가 어떤 성질을 가지는가에 따라서 SNR과 PSNR은 그 계산값이 달라집니다.
===================================================================================
뭔소린지 몰라서 더 찾아보니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었다..
===================================================================================
인터넷 기반 Streaming은 흔히들 MS의 WMV Encoder를 많이
사용 하시고 계실 것입니다.
이유는 일단 인코딩 및 디코딩 되는 솔루션 자체가 개인이 사용하기에
무리가 없고 또한, 무료라는 강점이 있습니다(단, 비영리목적)
하지만 문제는 어떻게 하면 화질과 대역폭의 상관 관계를 따져서
효율적으로 인코딩 하느냐가 관건인데 문제는 나름대로 표준이
없다는데 일단 처음 인코딩을 접하시는 분들은 남감 하실 겁니다.
화질을 평가 한다는 것은 대부분 주관적이라고 판단하기 쉬우나
나름대로 화질의 객관적 평가 기준이 있습니다.
그 첫번째가 바로 PSNR(Peek Signal To Noise Rate)값으로
평가 되는데 이 PSNR값 이외에도 많은 수치들이 있습니다만
통상 PSNR값을 국제표준에서는 화질의 척도로 삼는게 통례입니다.
본론으로 넘어가서 이 PSNR(Peek 전력에 따른 SNR)값으로
각각의 입력 해상도 및 출력 해상도, 그리고 Target Bitrate와의
상관 관계를 비교하여 보면 대략적인 수치 환산이 가능해 집니다.
(WMV로 인코딩 시)
예를 잠깐 들자면
1.입력 영상 해상도:320*240
출력 영상 해상도:320*240
영상 특성:움직임 小(강의 및 설교 등)
Target Bitrate:250~450Kbps(영상 220Kbps + 음성 128Kbps)
PSNR 값: 평균 32~36db
2.입력 영상 해상도:640*480
출력 영상 해상도:640*480
영상 특성:움직임 大(스포츠 및 액션 씬)
Target Bitrate:950Kbps~1.5Mbps
PSNR 값: 평균 34~42db
등의 결과가 나옵니다.
통상적으로 30db 이상의 영상은 인간의 시각 특성상 화질 저하로
판단하기 쉽지 않은 영상입니다.
그러므로 입력 영상 및 출력 영상 그리고 대역폭 관계를 고려 하시어
Target Bitrate를 적절하게 설정 하시면 됩니다.
참고적으로 WMV역시 MPEG4를 기본으로한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변환기법이 기본 압축 알고리즘인데 DCT 특성 자체가
저주파(화면영역에서 볼때엔 비교적 큰 면적으로 차지하는 부분)
성분(이를 DC성분이라고 함)의 데이터 할당은 많게하고 고주파
(화면 영역에서 디테일을 나타내는 부분)성분(이를 AC성분이라고 함)
의 데이터 할당을 줄여서 전체 데이터를 줄이는(동영상에서는 Motion
Vector를 이용한 인접 Frame의 차이 성분까지 코딩함) 특성을 가지기에
영상 특성상 Preprocessing(전처리-샤프니스 및 컬러 코렉션 등)을
실시하게 되면 인간의 시각 특성상 저주파 필터(Low Pass Filter)
역활을 하게 되어 부드러운 이미지 효과를 볼수 있으나 사실적인
해상도의 향상은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WMV 알고리즘 자체가 기본 MPEG4 베이스에
독자적인 Key Frame 상관성 코딩 기법을 적용하고 있어서
양자화 매트릭스 테이블(Quantization Matrix Table)을 외부에서
따로 수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좀더 낳은 화질을 위해서는
CBR MODE(Constant Bit Rate Mode-고정 비트레이트 할당)
보다는 VBR MODE(Variablr Bit Rate-가변 비트레이트 할당)
로 인코딩 하시는게 질적인 향상을 가져 옵니다.
'멀티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RIFF (Resource Interchange File Format)의 저장방식 (0) | 2008.06.14 |
---|---|
컨볼루션과 푸리에 시리즈, 푸리에 변환형의 목적 또는 의미를 알고 싶어요 (0) | 2008.06.13 |
OpenCV 를 이용한 얼굴 검출 프로그램 (6) | 2008.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