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https://Hybridego.net/ <Ho Cheol Jeon>
검색하기

블로그 홈

https://Hybridego.net/ <Ho Cheol Jeon>

hybridego.net/m

Compact Life.

구독자
1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Ho Cheol Jeon 모두보기
반응형

주요 글 목록

  • LTE (Long Term Evolution) 출처 : 끌량의 최완기님의 기사 GSMA 이사회는 HSPA 후속 모바일 브로드밴드 솔루션으로 lte (Long Term Evolution)를 지원키로 표결했다. GSMA는 또한 lte를 개발 중인 다른 회사들과 단체들과 상호연결하고, NGMN (Next Generation Mobile Networks) 선도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미국 제 2의 이동통신사인 버라이즌은 4G 채택에 있어서 WiMax, UMB보다 lte 쪽으로 기울은 것을 시사한 바 있다. [소스] http://www.engadget.com/2007/11/15/gsm-association-votes-to-support-lte/ NTT DoCoMo, 250Mbps LTE 브로드밴드 현장테스트 마쳐 일본 이동통신사업자 NTT DoCoM.. 공감수 0 댓글수 0 2008. 4. 5.
  • HSDPA, WCDMA, CDMA 등 개요 및 전망 출처 : http://blog.naver.com/witwise?Redirect=Log&logNo=40036620018 ㅇ 이동통신발전 과정 (2.5세대까지 동기식, 3세대부터 비동기식) - 1세대 : 아날로그(동기식) – 2세대 : 디지털 동기식(기지국과 기기의 시간이 싱크되야 하는 방식) (CDMA) EX) KTF의 매직엔/멀티팩 , SKT의 NATE - 2.5세대 : 음성 및 데이터전송 EX) 1X EVDO로 Fimm/ June - 3세대 : 비동기식 Wibro(WCDMA ) : IS-95C(cdma1x) ==> cdma20001x ==> EV-DO ==> EV-DV 또는 ==> EV-DO r1 의 순서로 발전 CDMA 에서 3G규격으로 가기 위해 주파수 효율과 속도를 높인것으로 CDMA(1x) EV.. 공감수 0 댓글수 0 2008. 2. 18.
  • USN, ubiquitous, RFID 출처 :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dir_id=11301&eid=mS/DLDMtHpBu9J95UHl4EFAkp1l+hAlV&qb=VVNO 먼저 RFTD가 아니고 RFID라 생각되는군요. 먼저 RFID 를 알기 위해서 IT839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2004년 2월 정보통신부에서 "IT-839"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것은 빠르게 변화하는 IT분야에서 그 흐름을 따라가고 또 IT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 세운 정책입니다. IT839란 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서비스 등 8대 신규서비스와 3대 인프라, 9대 신성장동력을 묶은 우리 IT 산업의 차세대 전략. IT839란 말은 IT관련 8대 신규 서비스에서 8을, 3대 첨단 인프라에서 3을, 그리고..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12. 9.
  •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유럽의 차세대 이동통신의 명칭. 유럽에서 IMT-2000을 부르는 차세대 이동통신으로, 국제이동전화(GSM) 방식을 바탕으로 비동기식(W-CDMA) 기술방식을 이용하는 개인통신 서비스이다. 비동기식은 유럽의 국제이동전화 방식에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기술을 일부 결합시켜 개발한 표준이다. 이 서비스는 셀룰러, 무선전화, 무선가입자망 및 무선 LAN, 위성통신 등 다양한 시스템을 통합하고, 세계 어디서나 통화가 가능하도록 국제로밍을 제공한다. 또한, 음성과 화상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2Mbps까지의 가변적인 전송률로 지원하고, 다양한 광대역망과 연동되는 등 IMT-2000과 동일한 요구조건과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된다. 유럽은 1980년대 중반부터 이것을 개발해 왔으며, 1996년 12월..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12. 7.
  • 주파수와 데이타 전송 및 커버리지의 관계 출처 : http://clien.career.co.kr/zboard/view.php?id=kin&page=1&page_num=30&select_arrange=headnum&desc=&sn=off&ss=on&sc=on&keyword=&no=118671&category= 지금 보면 700MHz 경매에 구글참여 뭐 이런 기사도 있고요 SKT가 800MHz의 좋은 주파수를 선점해서 전화가 잘터진다는 말도 있는데요 좋은 주파수라는 것이 왜 있는건가요? 무엇때문에 주파수 마다의 커버리지가 다르고 무엇때문에 좋은 주파수 별로 안좋은 주파수가 나뉘는건가요? 그리고 주파수 대역이 낮으면 대용량 파일 전송에 부담이 될수도 있다고 그러는데 주파수와 데이터전송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건가요? 참 궁굼하네요 알려주세요~~ Tai..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12. 6.
  • 핸드폰 주파수 우리나라 핸드폰 주파수 800Mhz~1.5GHz drporsche [08/31 16:48] :: SKT 가 825~849MHz 를 쓰던가요? drporsche [08/31 16:50] :: KTF나 LGT는 1.8 GHz, HSDPA가 2GHz를 쓰던가 할겁니다. poby [08/31 18:08] :: 핸드폰 타입에 따라서 다른데.. SKT는 셀룰러폰으로 8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쓰고 KTF, LGT는 PCS폰으로 1.8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합니다. SKT용 핸드폰만 저 범위 안에 들어가네요... [09/01 00:53] :: 답변 감사합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12. 6.
  • Zigbee 좋은 까페 입니다. http://cafe.naver.com/zigbee803.cafe | ZigBee 란? | IEEE 802.15.4 위에 쓰는 모자로서 무선 스트리밍이나 Mesh네트워크를 수행하는 것이다. | ZigBee 시장과 응용 | ZigBee는 빌딩자동화, 개인건강보호, 산업제어, 전등 및 상업제어, 컴퓨터 주변장치, 가전제품 분야의 시장에서 응용될 수 있다. | ZigBee와 유사 표준 기술의 비교 | Wi-Fi는 무선 노트북에 이용되는 기술이며, Bluetooth는 핸즈프리 이어폰에 많이 활용되는 기술이며, ZigBee는 250Kbps로 저속이며 Standby 전류가 3uA로 저전력을 요구하는 전등제어, 센서 네트워크 등에 활용될 신 기술이다. 종단기기는 4Kbyte메모리가 필요하여 칩가격..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12. 4.
  • WIbro 가능 지역 WIbro 가능 지역 지도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11. 5.
  • 와이브로 vs HSDPA 출처 http://clien.career.co.kr/zboard/view.php?id=lecture&page=1&sn1=&divpage=1&sn=off&ss=on&sc=on&keyword=투자&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831 음 오랜만에 써 보는 통신 강좌 입니다. SK와 KT가 와이브로 시범서비스에 들어가고, SK는 HSDPA 서비스를 상용화 했습니다. 와이브로는 휴대인터넷을 위해 태어난 기술이고, HSDPA는 UMTS망에서 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태어난 기술입니다. UMTS에 대한 이해를 하기 위해선... 우선 예전 강좌 링크를... http://www.clien.net/zboard/view.php?id=lecture&page=1&sn1=&divpage=1&c..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10. 30.
  • 끝없는 싸움 GSM vs CDMA 출처 http://clien.career.co.kr/zboard/view.php?id=lecture&page=1&sn1=&divpage=1&category=5&sn=on&ss=off&sc=off&sm=off&no=1148 지난번 강좌에서 좀 끝을 두리뭉실하게 썼더니 이해가 안가시는 부분이 많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냥 머리속에 나온것들을 쓰다 보니깐 그런것 같네요 이번엔 좀더 기술적으로 파고 들어가서 과연 이 둘이 왜 다르고 왜 싸우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하지만 이 통신쪽의 서열 다툼은 기술적인 다툼이 아니라 항상 서비스 회사들간의 다툼이라는 것 입니다. 기술이 돈을 버는게 아니라, 돈을 위해서 기술을 희생하거나 선택하는 것 이지요. 우리가 유선전화를 걸때는 보통 7자리 혹은 8자리 전화번호를 돌립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10. 30.
  • 끝없는 싸움 GSM vs CDMA... 전초전 출처 http://clien.career.co.kr/zboard/view.php?id=lecture&page=1&sn1=&divpage=1&category=5&sn=on&ss=off&sc=off&sm=off&no=1148 밑에 글을 읽어 보니 PCS음질 높이는 이야기가 나와서 그냥 적어 봅니다. 참고로 저는 통신전공자가 아니며, 이 글은 제가 아는 상식선에서 적는 이야기 입니다. 틀린내용이나 잘못된 부분은 꼭 지적해 주셔서 잘못된 정보를 저 말고 다른사람이 더 알게되는걸 방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셀룰라 전화기 무선통신이 무쟈게 발달한건 2차 세계대전때라고 알고있습니다. 사람은 전쟁을 치루어야 기술발전이 된다는데, 틀린말은 아닌것 같군요. 암튼 그당시에 미군은 모토롤라에서 만든 배낭같은 무전기를 들고..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10. 30.
  • 국산장비 세계 40여개국 수출 기대..국내 서비스 확대는 '글쎄' 머니투데이 윤미경기자][국산장비 세계 40여개국 수출 기대..국내 서비스 확대는 '글쎄']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휴대인터넷 '와 이브로' 기술이 3세대 이동통신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 정보통신부는 지난 18일 전세계 97개국 대표가 참가한 가운데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파통신총회에서 와이브로 기술(공식명 : OFDMA TDD WMAN)이 3세대(IMT-2000) 표준으로 최종 채택됐다고 19일 밝혔다. '와이맥스'는 고정형 무선인터넷이라면, '와이브로'는 60km로 달리는 차속에서도 끊김없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형이다. 해외에선 모바일 와이맥스로 통용되고 있고, 이미 지난해 6월부터 상용화한 우리나라 외에도 미국과 영국,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 이 서비스 를 채..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10. 19.
  • WIBRO 3세대 이동통신 국제표준 채택 ITU 전파총회서 승인..中.獨 반대 넘어서 (제네바=연합뉴스) 이 유 특파원 =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와이브로(Wi Bro) 기술이 IMT-2000으로 통칭되는 3세대(G)의 6번째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18일 오후 제네바 국제회의센터에서 진행된 전파총회( Radio Assembly) 본회의에서 한국의 와이브로 기술을 3G 국제표준으로 승인했다. 휴대인터넷 또는 모바일 와이맥스로 불리는 와이브로는 이동 중에도 광대역 인 터넷 접속이 가능한 무선통신 서비스이다. 와이브로가 3G 국제표준의 하나로 선정됨에 따라, 글로벌 로밍이 가능한 전세계 IMT-2000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 기존의 이동통신 서비스와 동등한 위치 에서 경쟁을 벌일 수 있어 상대적으로 유리..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10. 19.
  • 한국이 3G+, SHOW를 하라? 이동통신사의 사기극의 결말은 어디까지일까.. 출처: 미상 최근 이동통신시장에서 제일의 화두는 WIPI와 영상통화이다. 그러나 정작 이문제의 본질은 뒤에 감춰져 있다. 그리고 정작 이제부터 밀어닥칠 큰 파도는 짐작하지도 못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3G가 대체 뭐야? 3G는 화상전화가 가능한 3세대이동통신. 예전에는 화상전화가 불가능 했었는가? 화상전화 안되는 전화는 3G가 아닌가? 3G란 기존의 2세대 이동통신과 비교하여 3세대 즉 3rd Generation의 약자이다. 그렇다면 2세대와 3세대를 구분지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 분기점은 또 무엇인가? 참으로 애매한 개념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화상전화가 2세대와 3세대를 구분하는 유일한 요건이라고 할 수 없는 것만은 분명하다. 조금이라도 이동통신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당장, 동기식과 비동..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8. 31.
  • 블루투스 모노 프로파일 헤드셋 프로파일 = HSP 스테레오프로파일 = A2DP AV리모트컨트롤 프로파일 = AVRCP 추가로, 전화걸기로 인터넷 연결 = DUN 모노로도 들을 수 있는 경우도 있겠지만(반드시 들을 수 있거나 못듣거나 한건 아님), AM라디오 듣는 수준일 것이구요.. 스테레오를 지원해줘야만 깨끗하게 음악을 들을 수 있습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7. 29.
  • AP와 무선라우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Access Point는 무선랜 클라이언트(무선랜 카드가 장착된 PC)와 유선랜 인프라(보통 이더넷이나 ADSL,CABLE 회선등) 와의 연결을 도모하는 장비입니다. AP에는 이더넷과 연결하는 포트 하나와 무선랜들과 연결되는 안테나가 있습니다. 무선 인터넷 공유기는 AP를 이용해서 여러 무선랜 클라이언트들이 인터넷 회선을 공유한다는 말입니다. 예를들어 ADSL모뎀에서 이더넷 케이블이 하나가 나오는데 이걸 AP에 연결해서 여러 무선랜 클라이언트들이 인터넷을 공유하는겁니다. AP의 통신 방식은 브릿지 식이지만. 라우터는 ip를 라우팅 하는 방식이겠죠~! ^^ 무선 공유기는 단순 Ethernet port 에서 DHCP Client 기능으로 회선 공급자 측에서 공급하는 자동ip할당 방식을 받아 들여 내부에서 N.. 공감수 2 댓글수 0 2007. 5. 8.
  • IEEE 802.11 a/b/g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IEEE 802.11a - 주파수대역 5.7GHz, 최대속도 54Mbps IEEE 802.11b - 주파수대역 2.4GHz, 최대속도 11Mbps IEEE 802.11g - 주파수대역 2.4GHz, 최대속도 54Mbps (802.11b와 호환) IEEE 는 국제 표준 프로토콜을 규약으로 정하는 규약협회표기이고 802.11a 는 주파수 대역을 5.2~5.4, 5.7~5.8 대역의 ISM(연구 개발 목적의 공개 주파수 대역)밴더를 사용하지요, 허나 한국에서는 5GHz 대역의 앞대역인 5.2~5.4 를 인정 안하고 있지만, 조만간 풀린다는 말이 있더군여 (아마도 풀렸을수도 있구여), 아울러 기본 프로토콜은 OFDM으로 64-QAM을 사용한다면, 54Mbps 가 나오겠지만, 특정사 제품에 한해서는 AP든 bri..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5. 8.
  • 무선랜이란? 말그대로 랜케이블로 연결하지 않아도 인터넷을 사용할수 있는 것입니다. 사용법은 기존의 xDSL, 케이블 모뎀 등의 통신라인과 AP(Access Point)를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AP에서 신호를 보내면 무선 랜카드가 이 신호를 받아들여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따로 떨어진 노트북이나 데스크탑까지 편하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무선랜이란 유선 LAN의 확장 또는 대체의 개념으로 구현될 수 있는 데이터 통신으로써 Network구축 시 Hub에서 Client까지 기존의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등을 전송 신호로 이용하던 유선 LAN 대신 고주파수의 전파(RF)나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대기를 통신 채널로 이용하는 Network입니다. 유선(10/100Base)을 사용..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5. 8.
  • 무선의 자유로움,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 '점검포인트'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을 구입하고자 한다면 블루투스가 대세다 블루투스가 등장한 것은 수 년이 지났지만 근래에 들어서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 이를 지원하는 휴대폰과 노트북, PDA 등, 관련 모바일기기의 저변이 확대되서다. 선 없는 자유로움과 조작이 간단하다는 장점을 갖은 블루투스 제품들은 모바일 기기를 주로 다루는 젊은 층에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점차 그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치열한 블루투스 시장 현재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을 내놓은 회사는 대기업에서부터 중소기업까지 다양하다. 그만큼 블루투스 시장을 놓고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블루투스 헤드셋 제품 가운데 음악감상 및 음성 통화용으로 사용되는 스테레오 헤드셋 제품들을 집중적으로 살펴봤다.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을 구입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5. 5.
  • Usim이란 무엇일까? Usim이란 무엇일까? 출처 : 클리앙 : http://clien.career.co.kr/zboard/view.php?id=lecture&no=3136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4. 22.
  • HSDPA iPlug Tlogin ‘KT 아이플러그 vs. SKT T로그인’ "속도는 KTF가 ‘한수 위’ ․ ․ ․ 지하철에서는 T로그인이 우월" 3세대 이동통신 WCDMA가 차세대 통신시장의 화두로 떠오르면서 사람들의 이목을 독차지 하고 있다. 휴대폰은 물론 노트북과 같은 모바일장비를 통해 초고속 인터넷을 무선으로 즐길 수 있는 HSDPA를 본격적으로 지원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이기 때문이다. 양대 이동통신사는 HSDPA 시장을 서로 선점하기 위해 대대적인 경쟁에 돌입했다. HSDPA 한 가지 서비스를 두고 독자적인 명칭을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신경전으로 해석된다. KTF는 쇼(SHOW)라는 명칭으로 SKT의 3G+라는 명칭을 사용함으로써 서로의 서비스를 부각시키고 있다. 두 회사의 신경전은 제품 출시 전에도 계속되어 왔다. ‘쇼..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4. 21.
  • Mobile WiMAX 동향 및 전망 1. 개요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기술은 기존 무선인터넷 기술인 Wi-Fi의 커버리지와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인텔에서 주도적으로 개발한 기술로, 처음에는 Fixed WiMAX로 시작하였다. 그후, 모바일 기능을 부가하여 Mobile WiMAX가 탄생하게 되었다. 우리가 휴대인터넷이라고 부르는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와 Mobile WiMAX는 개념적으로 동일한 기술이라고 볼 수 있으며, 단말기를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계속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Wibro와 Mobile WiMAX는 초창기에 서로 독자적으로 개발이 진행되어 오다가 2005년 6월 KT와 인텔이 제휴하면서 서로 협력을 ..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4. 17.
  • FDMA... 그러면 지금까지 언급된 FDMA 방식의 AMPS와 TDMA 방식의 GSM및 NA-TDMA(Code Division Mnltiple Acess)방식의 특징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각 방식의 기본적인 개념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FDMA나 TDMA 그리고 CDMA 모두 기본적으로는 하나의 정보 전달 통로를 통해서 독립적인 여러 개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고안된 다중화 방식들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정보가 전달되는 주파수 대역을 하나의 파이프로 그리고 각각의 음성을 서로 다른 액체로 비유해 보기로 한다. 우리가 이렇게 서로 다른 액체를 하나의 파이프를 통해서 보낸 수 있는 방법은 기존의 파이프안에 다시 작은 직경의 파이프 를 설치하여 각 액체를 각각의 작은 파이프를 통해서 보내는 방법과(FDMA) 시간차이를 두고..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4. 5.
  • 통신+ubiquitous+WCDMA+IMT2000+MVNO+유럽 및 선진국 그리고..... MVNO 정의 MVNO는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의 약어이며, 우리말로 직역하면 ‘가상이동망사업자’라고 하지만‘이동통신재판매사업자’, \'이동통신네트워크사업자’의미에 더 가깝다. 일반적으로 MVNO는 무선주파수(스펙트럼)를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통신사업자(MNO:Mobile Network Operator)의 이동망을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의미한다. plus+그러면 현 KT,SKT,LGT,KTFT,등 선을 보유하고 있는 사업자에게서 빌려올 수 있다는 말이되는데. 그렇게 되면 소비자 층을 형성하고 있거나 그렇지 못한 소규모의 집단에서 돈을 주고 일정 회선을 따와서 사업을 진행 할 수있다는 말이됩니다물론 IMT-2000이 시행되고 나면 각종..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4. 5.
  • EV-DO(Evolution Data Only) EV-DO(Evolution Data Only) CDMA는 음성과 패킷화된 데이타를 모두 사용할수 있으나 DO시스템은 데이타만을 사용하는 데이타 전용 통신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최대속도 2,457.6Kbps까지 가능하고 이 DATA RATE는 CDMA SYSTEM 과는 달리 단말이 속도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즉 단말은 현재 망 상태의 C/I(Carrier to interference)를 측정하여 reverse link 의 DRC channel을 이용,원하는 data rate를 요구하면 시스템에서 이 요구에 따라 user별로 data rate를 할당한다. EV-DO system은 고속 packet data전송을 위한 시스템이므로 packet단위의 전송을 하게 된다. forward link에서의 packe..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4. 5.
  • CDMA & GSM 설명 1) CDMA란 무엇인가? 코드분할 다중접속방식(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ess)을 FDMA나 TDMA와 비교해 보면, 어떤 모임 장소에서 여러 사람이 보여서 이야기를 한다고 가정하면, FDMA 방식은 모든 사람이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모임 장소를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작은 구역으로 나누어논 각각의 대화실에 차례를 기다렸다가 들어가서 이야기 하는 것으로 비유할 수 있다. TDMA 방식은 역시 같은 언어를 사용하지만, FDMA 방식과는 다르게 모든 사람이 같은 장소에 모여서 이야기를 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동시에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 이야기 하는시간을 정해서 자기에게 할당된 시간 동안에만 이야기를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물론 이야기를하는 시간이 단절되어 대..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4. 5.
  •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종합정보통신망과 연결되므로 모뎀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화 단말기와 팩시밀리, 랩톱등에 직접 접속하여 이동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방식이다. 유럽전기통신주관청회의 산하 GSM에서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을 설정한 것이 기초를 이룬다. 1982년 유럽전기통신주관청회의(CEPT) 산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에서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을 설정한 것이 기초를 이룬다. 1989년에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I)로 이관되어 범유럽 표준규격으로 제정되었다. 그런 까닭에 ETSI/GSM이라고도 불린다. 협대역 시분할다중접속(TDMA) 방식을 적용하여 유럽 17개국을 단일 통화권으로 묶었다. 종합정보통신망(ISDN)과 연결되므로 모뎀을 사용하지 않고도 ..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4. 5.
  •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지상이나 위성에서 음성, 고속 데이터,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글로벌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무선 통합 차세대 통신서비스이다. 기존 전화나 ISDN과 같은 고정 통신망 서비스에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를 사용하여 접속하도록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기존 통신 시스템의 가장 큰 문제점인 단말기의 이동성과, 전송속도의 한계를 극복하여 지구상의 어떤 곳, 즉 사막이나 바다 한가운데서도 다양한 정보를 빠른 속도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시스템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용 주파수 대역은 1885MHz에서 2200MHz로 기존의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던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다 향상된 기술에 의한 차원 높은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이다. 지상망 ..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4. 5.
  • CDMA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유무선 통합 차세대 통신 서비스인 IMT-2000의 표준으로 채택된 3세대 동기식 무선접속 기술표준. 1996년부터 인기를 끌었던 2세대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 이동통신인 IS-95 A·B보다 진화된 3세대 동기식 무선접속 기술표준이다. 2000년 유무선 통합 차세대통신 서비스인 IMT-2000의 기술표준으로 채택되었다. CDMA2000 1X와 CDMA2000 1x EVDO(Evolution Data Optimized) 두 종류가 있다. 둘 다 휴대폰·무선호출 등을 포함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이다. CDMA2000 1X는 IS-95 A·B보다 한 단계 진화된 형태로, 속도가 훨씬 빨라 153.6kbps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와 모바일 IP 서비스 지원이 가능하고, 수용용..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4. 5.
  • CDMA2000 1x EV-DO CDMA 기술의 상용화에 성공, 전세계적인 CDMA 기술의 급속한 확산 계기를 마련한 미국의 세계적인 통신업체인 퀄컴이 3세대 이동통신 시장을 겨냥해 1999년 하반기에 선보인 초고속 무선데이터 통신기술. 처음엔 고속무선데이터(HDR: High Data Rate)로 불렸으나 2000년 10월에 열린 동기식 국제표준화기구(3GPP2)는 HDR을 cdma2000 1x EV-DO(Evolution Data Only)라는 이름의 기술표준으로 채택했다. 또한 CDMA2000 1x EV-DOD은 국제통신연맹(ITU)으로부터 3세대 이동통신(IMT-2000) 공식기술표준 중 하나로 채택됐다. CDMA2000 1x EV-DO은 기존의 IS-95시스템과 동일한 1.25㎒ 주파수 대역의 CDMA 이동통신망에서 핵심망(기지..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4. 5.
    반응형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