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EE1394

Network : 2007. 4. 19. 23:24
반응형
IEEE1394

≪ INDEX ≫

1.IEEE 1394의 소개

(1) IEEE 1394의 유래   (2) IEEE 1394의 정의  

2. IEEE 1394의 필요한 이유  

3. IEEE 1394의 특징  

4.IEEE 1394와 다른 인터페이스 비교  

5. IEEE1394의 장점

⑴ USB에 대해  ⑵ USB와 IEEE1394의 차이점  ⑶ IEEE1394의 장점  

6. 직렬 전송 버스를 사용한 이유  

7. IEEE1394의 Cable  

8. IEEE1394의 Connector  

9. IEEE1394의 Topology  

10. IEEE1394의 Bridge  

11. IEEE1394의 Protocol  

13. 동작원리  

14. IEEE1394의 확장

⑴ IEEE1394-1995  ⑵ IEEE1394.a   ⑶ IEEE1394.b   ⑷ IEEE1394.1  

IEEE1394의 응용과 시제품  

향후전망

<용어설명>   

 

 

1. IEEE1394의 소개

(1) IEEE 1394의 유래

IEEE1394는 애플사와 텍사스인스트루먼트사가 공동으로 제창한 Serial Bus interface규격으로 FireWire라는 코드네임으로 개발되어왔다. Firewire는 IEEE 1394의 개발을 주도하던 Apple사가 붙인 이름으로 매우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을 ‘불’에 비유를 한 것에서 출발합니다.

 (2) IEEE 1394의 정의

1986년부터 연구되어온 IEEE1394는 미국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에서 1995년 12월에 공식으로 협약되었고 그것을 표준화한 것이 바로 IEEE1394이다. IEEE1394를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최근 혜성처럼 떠오르는 네트워크 PC와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표준 버스 인터페이스 규격이라고 할 수 있다. 현존하는 확장 버스나 인터페이스는 현재와 같은 고성능 멀티미디어 시대에는 다른 기술의 발전 속도를 제대로 따라잡지 못하고 오히려 방해만 되는 한계상황에 와있다. 알다시피 주변기기와 본체간의 병목현상은 컴퓨터 시스템의 전체적인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 커다란 장애물이 되어 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바로 IEEE1394이다.

 

2. IEEE 1394가 필요한 이유

현재 메인보드에는 보조 기억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두 가지로 나눠져 있다. 플로피디스크 컨트롤러와 E-IDE용 하드디스크 컨트롤러가 바로 그것이다. 만약 여기에 SCSI 기기를 연결하고 싶다면 SCSI 카드를 따로 설치해야 한다. 물론 각각의 컨트롤러는 다른 커넥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플로피디스크 커넥터에 하드디스크를 연결할 수는 없다. 또한 E-IDE형 하드디스크와 SCSI형 기기 사이에서 호환성이 없는 SCSI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고가의 SCSI 컨트롤러를 구해야 했다. 또한 요새 컴퓨터의 뒷면을 보면 키보드 커넥터, 마우스 커넥터, Serial/Parallel 커넥터, 사운드 카드, 모뎀 등 많은 멀티미디어 커넥터들로 선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이러한 모습은 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고 또한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는 너무나도 어렵게만 느껴진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고자 주변기기(특히 고속의 주변기기)를 하나의 케이블에 연결하기 위한 새로운 표준 규격을 개발하게 되었고 그 결과로 만들어 진 것이 바로 IEEE1394이다. IEEE1394와 같은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은 전달해야 할 정보의 양이 점점 방대해져 감에 따라 그 필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LAN은 그에 필요한 주변기기를 구비하는 데만도 가격 부담이 크다.

또한 음성이나 영상 데이터를 다루는 멀티미디어 장비에 요구되는 빠른 전송 속도와 안정성도 현재 기술로는 따라가기 어렵다. 일례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만 봐도 병렬 통신 방식의 고속 통신은 주변기기간의 거리를 짧게 해야 하고, 핫플러그(Hot-Plugging)도 지원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사용자는 전원을 끄고 연결한 다음 다시 전원을 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했다.

더욱이 SCSI는 표준화에 실패한 인터페이스란 오명까지 갖고 있다. 왜냐하면 업체들마다 프로토콜과 드라이브가 조금씩 다르고, 심지어는 연결되는 주변기기마저도 Spec을 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준 SCSI의 50핀이 모자라 핀 수를 높인 새로운 버전이 만들어지기까지 했다. 범용 인터페이스로서의 SCSI는 더 이상 앞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 와있다. 이런 이유로 IEEE1394가 이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그럼 이제부터 다가오는 21세기 멀티미디어 시대에 큰 역할을 하게 될 IEEE1394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3. IEEE1394의 특징

IEEE1394 인터페이스의 가장 큰 특징은 빠른 전송 속도에 있다. 모드에 따라 100Mbps, 200Mbps, 400Mbps 등 세 가지 속도를 낼 수 있다. 또한 지금 개발중인 800, 1.6Gbps의 속도라면 디지털 오디오나 동화상 정보를 전송하기에는 무리가 없기 때문에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주변기기를 그대로 연결해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세 가지 속도 모드에 있어서 높은 속도 모드는 그보다 낮은 속도 모드에 대해 호환성을 갖는다. 즉 200Mbps 모드는 100Mbps로도 동작할 수 있고, 400Mbps 모드는 100Mbps와 200Mbps의 두 가지 모드 가운데 어떤 것으로나 동작할 수 있다. 이는 또 단순한 호환에 그치지 않는다. 가령 400Mbps 속도의 컴퓨터와 200Mbps 속도의 프린터, 그리고 100Mbps 속도의 광 디스크가 동일한 IEEE1394 인터페이스 케이블에 물려 있다고 생각해 보자. 이들은 모두 문제없이 동작하고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데이터를 주고받을 주변기기 또는 컴퓨터끼리 속도를 맞춰 가며 동작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큰 특징은 쌍방향 통신 기능이 뛰어나다는 사실이다. 즉 모든 주변기기마다 IEEE1394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IC를 내장할 수 있기 때문에 PC를 통한 화상회의 등의 응용 분야에서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따라서 아직 정식으로 시장에 나오지 않았지만, 영상 및 음향 가전제품이 디지털화되면서 컴퓨터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IEEE1394 인터페이스가 채택되리란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IEEE1394의 또 다른 특징은 PnP(Plug-and-Play)를 지원하며, 이와 함께 Hot-Plugging가 가능하다. IEEE1394의 프로토콜은 케이블로 연결된 여러 시스템 가운데 뭔가 변화가 생기면 즉시 그에 대처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또한 사용중인 주변기기라도 마음대로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다른 장치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하던 동작을 계속한다. 일일이 컴퓨터를 Shutdown하고 전원을 내린 다음 주변기기를 설치하고, 다시 전원을 넣는 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다. 데이지 체인이 동작중인 상태에서 어떤 주변기기가 붙거나 떨어져 나가면 형태가 달라지므로 모든 정보는 리셋되고 이 체인의 주변기기들은 다시 어드레스를 부여받는다. 그런 다음, 주변기기들은 자신의 위치를 이 체인에 붙어 있는 모든 기기들에게 알리고 재동작을 하기 위하여 준비 상태로 돌아간다

또한 SCSI와 같이 데이지체인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시스템이나, 혹은 LAN을 구성하는 Ethernet 시스템에서는 항상 Terminator를 사용해야 했다. 이것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동작에 이상이 생긴다. IEEE1394에서는 Terminator를 달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IEEE1394는 Daisy Chain이라기 보다는 Point-to-Point 방식의 버스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Thin cable을 사용하여 기존의 크고 비싼 케이블을 대신하고 쉽게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참고 1

< IEEE1394 망 구성도>

 

 

 

4. IEEE1394와 다른 인터페이스의 비교

Serial Bus에는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지만 그 중에서 최근에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USB에 대해서 잠깐 살펴보고 IEEE1394와의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⑴ USB(Universal Serial Bus)에 대해

USB는 기존의 시리얼 포트와 마찬가지로 직렬 포트의 일종이다. 그 동안 모뎀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의 장비를 직렬, 병렬 포트에 연결하려면 속도가 느리고, 제한된 연결 장치 수로 인해 불편을 겪었다.

USB는 이런 불편을 해소해주는, 현재의 직렬 포트를 대신할 수 있는 규격으로 기존에는 모두 다른 방식으로 연결하던 키보드, 모니터, 마우스, 프린터, 모뎀 등 기본적인 주변기기들을 한번에 연결해 버릴 수 있는 방식으로 IBM, Intel, Microsoft, Compaq, DEC, Northern Telecom, NEC 등 7개 업체의 공동 연구결과로 만들어 졌다. 초당 12MB를 전송하므로 기존 시리얼 포트보다 빠르고 최대 127개까지의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C에는 2개의 USB 포트가 있지만 SCSI처럼 Daisy Chain으로 일렬로 장착한다. 또는 USB 허브가 있어서 하나의 포트를 다수의 포트로 나누어주기 때문에 다양한 주변장치를 연결한다.

IEEE1394가 고속의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수단이라면 USB는 저속의 장비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USB를 사용하는 장비는 최근에 많은 업체에서 지원하므로 상당히 많다. 키보드에서 마우스, 조이스틱, 스캐너 등의 입력장치에서 프린터, 모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이미 250여가지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또한 펜티엄 이상의 메인보드에는 대부분 USB 포트가 탑재되어 있고 윈도 98에서 본격적으로 드라이버를 제공하기 때문에 USB는 이미 현실화되고 있다.

⑵ USB와 IEEE1394의 차이점

가장 근본적인 차이점이라면 속도를 들 수 있다. USB의 속도가 12Mbps인데 반해 IEEE1394는 기본적으로 100Mbps, 200Mbps, 400Mbps의 속도를 가진다. 또한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규약에서는 800, 1600Mbps가 개발되고 있다. 그래서 USB는 키보드, 마우스등 저속 주변 장치를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되고, IEEE1394는 하드디스크, 그래픽카드와 같은 고속 주변 장치에서 사용된다.

두 번째로는 USB가 최대 127개의 주변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데 반해 IEEE1394는 하나의 Bridge 당 63개의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USB에서는 항상 PC가 주, 기기는 종이라는 상하관계 형태로 접속되고 모든 관리는 호스트인 PC가 처리한다. 따라서 기기 들을 제어하기 위해서 호스트 컨트롤러가 필요하다. 실제 접속은 허브를 통해 트리 형태로 연결되기 때문에 모든 기기를 직접 PC의 USB커넥터에 접속할 필요는 없다. 반면에 IEEE1394는 모든 기기가 호스트가 되는 것이 가능하고 각각의 기기는 대등한 관계를 가진다. PC를 통하지 않고 기기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은 그 때문이다.

세 번째로는 5∼40V의 전원을 공급받는 점이다. 그러나 USB와는 다르게 IEEE1394에서는 어느 한 기기의 전원이 꺼지더라도 다른 기기의 전원이 나가는 일이 없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IEEE1394는 등시전송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등시 전송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개개의 단말기들이 송신한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이 일정하고 보증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는데, 쉽게 말하면 채널을 일정한 시간 내에 한 방향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자료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등시전송은 디지탈 비디오와 같이 시간에 민감한 자료를 전송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그리고 디지탈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바꿀 필요가 없는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가느다란 직렬 케이블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대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ID나 터미네이터가 필요 없고, 따로 설정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사용이 쉽다.  하지만 USB와 IEEE1394는 사용목적이 달라서, 즉 USB는 저속의 주변기기(마우스, 키보드)를 위한 연결 규약이고 IEEE1394는 고속 전송을 위한 규약이기 때문에 서로 대립할 일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두 시리얼 버스 간의 차이점은 아래에 간단히 표로 정리하였다.

 참고 2

 

IEEE 1394

USB

최대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

63

127

Hot-plugging

Yes

No

디바이스간의 최대거리

4.5M

5M

데이터 전송률

100/200/400Mbps

12Mbps(1.5Mb/sec)

내부 보조장치 접속

Yes

No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

-  Digital Camcorders

-  High-Resolutiln Digital Cameras

- HDTV   -  Set-Top-Box

-  Hard Disks  - Printers

-  DVD-ROM Drives

-  Scanners etc.

-  Keyboards  -  Mouse

-  Monitors   -  Joysticks

-  Low-Resolution Digtal Cameras

-  Speed CD-ROM Drive

-  Modems etc

                                    < IEEE 1394와 USB의 비교>

 

5. IEEE1394의 장점

IEEE1394는 다른 Serial Interface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  디지털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환할 필요가 없고 데이터의 손실이 적다.

-  얇은 케이블을 사용하여 작고, 저렴하다.

-  사용하기 쉽다.

-  Terminator나 device ID가 필요 없다.

-  Hot-Plugging, PnP

-  100, 200, 400Mbps의 서로 다른 속도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  Flexible topology - daisy chaining와 true peer-to-peer communication을 지원함

-  멀티미디어 데이터도 실시간으로 전송이 가능할 정도로 빠른 전송속도

참고 3

 

속도(최대/s)

연결 가능한 장치 수

케이블 길이

울트라 ATA/66

66Mb

2

0.45

스카시

80Mb

15

12M

USB

12Mb

127

5M

USB20

400Mb

127

5M

IEEE 1394

1Gb

53

5M

                 < IEEE 1394와 다른 방식의 인터페이스의 비교>

 

6. 직렬 전송 버스를 사용한 이유

우리는 지금까지 RS-232C와 같은 직렬 전송 버스는 병렬 전송 버스보다 속도가 한참 느릴 수밖에 없다고 알아 왔다. 그래서 새로운 형태의 전송 버스가 나타난다면 그것은 SCSI처럼 병렬 버스일 것이라고 추측해 왔다. 왜냐하면 직렬 버스는 1비트씩 신호를 보내지만, 병렬 버스는 그보다 몇 배 많은 8비트, 혹은 16비트씩 전송하므로 훨씬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왜 차세대 버스 전송 규격으로 직렬 전송을 사용하는 것일까. 병렬 버스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우선 커넥터의 크기가 커진다는 점이다. SCSI 케이블과 커넥터를 보면, 표준 SCSI에서는 50가닥의 선이 하나의 굵은 케이블 안에 들어가야 하고 커넥터 역시 마찬가지다. 속도를 더 빠르게 만든 Wide-SCSI의 경우는 이런 이유로 핀이 무려 68핀씩이나 된다. 점점 소형화되어 가는 컴퓨터 환경에서 이런 덩치 큰 인터페이스는 당연히 바람직한 솔루션이 되지 못한다. 또한 케이블이 굵으면 길이를 길게 만들 때마다 비용이 배로 늘어날 것이다. 또한 병렬 전송 방식은 전송 거리를 길게 할 수 없다. 케이블에는 수십 가닥의 전선줄이 빽빽하게 들어차서 서로 다른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면 전기적인 간섭현상이 벌어지는데, 이는 전송 거리에 비례해서 커진다. 이 같은 이유로 인해 병렬 전송은 단거리에서만 이용되어 온 것이다. IEEE1394 인터페이스는 기존 RS-232C 시리얼 포트의 문제를 LAN 기술을 통해 해결했다. 그렇다고 IEEE1394가 LAN에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술이라는 말은 아니다. 물론 작은 방 안에서 여러 대의 컴퓨터와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는 있겠지만, 실질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는 없다. IEEE1394는 컴퓨터와 고속 전송을 필요로 하는 주변기기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의 위치를 계속 유지할 것이다.

 

7. IEEE1394 Cable

IEEE1394 인터페이스에서 주변기기 사이의 케이블 길이는 최대 4.5m로 짧은 편이다. 케이블은 겉으로 보면 하나의 굵은 전선처럼 보이지만, 내부적으로는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6가닥의 구리선이 들어 있다. 이중 2개의 선은 +, -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4개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직렬 통신임에도 전선이 4개나 쓰이는 이유는 이들이 각각 2개씩 짝을 이루어서 상호 보상적인 동작을 하기 때문이다. 전원 공급선은 8볼트 내지 40볼트 직류를 1.5암페어까지 전달할 수 있다. 이는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전원이 꺼지거나, 고장난 상태에서도 인터페이스의 물리적인 특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주는 중요한 구실을 한다. 그리고 따로 전원장치가 없는 주변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때문에 전력소모가 작은 주변기기는 전원장치를 내부에 가질 필요가 없다. 컴퓨터 본체 또는 주변기기에는 IEEE1394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달려있다. 물론 케이블의 끝에는 이에 맞는 플러그가 연결되어 있다. SCSI와는 달리 커넥터 끝에 터미네이터를 단다거나 ID 번호를 설정하는 스위치가 있지는 않다. 한편 케이블을 좀 더 간단하게 만들기 위한 버전도 Sony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여기에는 전원이 포함되지 않는다.

참고 4

 < 1394케이블 단면도 >

 

 

8. IEEE1394 Connector

IEEE1394 커넥터의 아이디어는 어린아이들이 많이 가지고 노는 Nintendo Gameboy에서 비롯되었다.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소형과 고밀도 실장 대응(6P 타입비로 기판 투영면적 44%, 체적 32%, 단자 피치는 0.8mm).

(2) 케이블이 4mm로 소구경화되어 있다.

(3) 유연성 : peer-to-peer 방식으로 여러 갈래로 연결하거나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 가능하다.

(4) 호스트 측의 전원 공급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전원 용량 면에서의 부담이 없고 전원 노이즈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특히 노트형 PC에 있어서는 유리하게 된다.

(5) Contact 는 leaf 형상으로 하고 접촉부에는 부분 Au 도금을 실시하고 있다.

(6) EMI 및 EMC에 대응한 Shield 구조 .

(7) 맞물림부는 쇠장식에 의한 조임으로 형성하고 비틀림 강도 면에서 충분히 고려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넥 터의 소형화는 강도 면을 희생시키는 일없이 실현되고 있다.

(8) 취급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삽입후의 유지에는 하프록 방식을 채용

(9) 소켓 기판에의 부착 방법은 실드 케이스부의 DIP 타입 및 SMT 타입을 준비하고 있다.

(10) 고속, 보장된 속도: 표준은 작은 버퍼를 사용해 정해진 시간 내에 보장된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11) 사용이 편리 : 터미네이터, 장비의 ID, 나사, 기타 복잡한 셋업이 필요 없다.

(12) Hot plugging : 장비는 버스가 사용중인 상태에서 연결하거나 제거할 수 있고 연결된 장비는 자동으로 재구성된다.

(13) 소유권 없음 : 라이센스가 필요없다.

(14) 확장성 : 100, 200, 400 Mbps의 속도를 가지는 서로 다른 장비를 하나의 케이블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다. 테크놀러지의 발달로 훨씬 더 빠른 속도로 더 멀리 다른 장비와 접속할 수 있다.

참고 5

< IEEE1394의 연결부 모양 >

 

 

9. IEEE1394 Topology

IEEE1394는 트랜잭션 기반(transaction-based)의 패킷 기술을 이용한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이다. 이 기술에서 각 주변기기들은 마치 어떤 메모리 영역에 걸쳐 각 블럭마다 배치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BackPlane 버전에서는 마치 확장 슬롯에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각 디바이스들은 64비트 어드레스로 구분된다. 이중에서 10비트는 버스 ID(BUS ID)로 사용되고, 6비트는 노드 ID(Node ID), 그리고 나머지 48비트는 주변기기를 구분하는 ID(Offset ID)로서 이용된다.

이 같은 결과에 의해 IEEE1394 케이블을 통한 네트워크는 각각 63개의 노드로 구성된 1023개의 네트워크로 만들어지며, 이때 각 노드는 281TB(테라바이트)의 메모리를 가진 것처럼 된다. 이제까지 다른 인터페이스들은 각각 정해진 슬롯이 있는 이른바 채널(Channel) 어드레싱을 해온 데 반해, 1394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기반의 어드레싱은 각 주변기기나 장비들을 메모리 영역으로서 본다. 마치 CPU가 메모리의 내용을 읽고 쓸 때와 마찬가지다.

   

  참고 6

< IEEE1394 Physical Addressing >



실제로 개인용 컴퓨터에 IEEE1394를 이용해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경우라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크게 확장하지 않고, 단지 63개의 노드만을 이용한다. 그래서 IEEE1394가 63개의 주변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각각의 노드는 리피터(repeater) 역할을 하며, 여러 개의 노드들은 데이지체인 형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IEEE1394는 워낙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각 노드 사이의 거리는 4.5미터를 넘지 못한다. 그리고 한 체인 안의 연결부위(hops)는 16개이며, 한 시스템의 끝에서 끝까지의 거리는 72미터로 제한된다. 이처럼 거리 제한이 있는 것은 케이블을 통해 신호가 전달되면서 생기는 신호 감쇄 현상 때문이다.

 

 

참고 7

< 1394 Topology >



 

 

10. IEEE1394 Bridge

(1) IEEE1394 Bridge

ㆍ브리지 성능 파라미터      * 대역폭        * Iso Delay

* 브리지 Vendor ID = max. of 2 portal vendor IDs

* 브리지 Node ID = max. of 2 portal vendor IDs

ㆍ 브리지는 받아들일 수 없는 루프가 있을 수도 있다.

ㆍ 두 브리지 사이의 경로

* 최소 병목 라우트(Minimum bottleneck route)

ㆍ 전형적인 브리지 성능은 버스 성능보다 낮다.

  참고 8








< An Example of Tree Conf. Algorithm(1) >

⑵ Wireless Bridge in IEEE1394

① 두가지 종류의 브리지

Tight Coupled Bridge : 2-Portal

* 보통 버스들 사이의 브리지

Loose Coupled Bridge : with Multiportal

*  Support Disconnected State

* 분리된 브리지 지원(가정에서 1층, 2층의 경우)

     참고 9

② Addressing Scheme

subnet_ID : 5bit

* 네트워크에서 최대 31개의 서브넷을 갖는다.( 0-30 )

* 방송을 위해 subnet_ID=31이 예약되어 있다.

bus_ID : 5bit

* 서브넷에서 최대 31개의 버스를 갖는다.( 0-30 )* 방송을 위해 bus_ID=31이 예약되어 있다.

  physical_ID : 6bit








11. IEEE1394 Protocol

IEEE1394는 세 가지 Protocol Layer가 있다. Link Layer, Physical Layer, Transaction Layer가 있고 Serial Bus Management는 3가지 Layer와 연결되어 있다. Physical Layer는 IEEE1394커넥터와 연결되고, 다른 레이어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되어 있다.

Physical Layer는 IEEE1394 디바이스와 IEEE1394 케이블 사이에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실제 데이터를 송, 수신하며 모든 디바이스가 버스를 순차적으로 실행하고 각 포트에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리피트 역할도 한다. 또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98.304Mbps, 196.608(x2), 393.216(x4)의 Half duplex transport 속도를 갖는다.

- Data reclocked at each node

- 1394b에서는 x8, x16, x32의 전송속도를 제공한다.

Data encoding

- Data and strobe on separate pairs

- 1394b uses 5B10B encoding full duplex

- Automatic speed detection

Fair and Priority access

- Tree-based handshake arbitration

- Automaic assignment of addresses

Link Layer는 두 가지 패킷(Asynchronous Transfer, Isochronous Transfer)을 송수신하기 위해 두 개의 FIFO(FIRST-IN-FIRST-OUT)와 한 개의 수신 FIFO가 있다. 각 FIFO는 32비트의 길이로 사용자가 FIFO의 크기를 소프트웨어로 결정할 수 있다. 송신 전용인 비동기용 FIFO와 등시용 FIFO는 write로, 수신 전용인 FIFO는 read용으로 사용된다. 비동기 전송은 데이터와 계층 정보를 명시된 어드레스로 전송하고 등시전송은 데이터를 보낼 때 어드레스를 사용하지 않고, 채널번호를 포함시켜서 전송한다. 이런 등시전송은 동화상이나 음성 정보처럼 시간적인 제약이 많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비동기 전송은 프린터나 스캐너처럼 실시간으로 동작하지 않아도 되는 정보를 전송할 때 이용된다. 또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Implements acknowledged datagram service

Flexible addressing using 1212 architecture

그리고 다음의 과정을 통해 동작한다.

Link request → arbitration & packet transmission → Link indication → Link response

→ acknowledge(not present for broadcast or isochronous) → Link confirmation

Transaction Layer는 비동기 프로토콜의 read, write, lock기능을 한다. write는 송신 측에서 수신 측으로 데이터를 보내고 read는 데이터를 송신 측으로 보낸다. lock은 write와 read명령의 조합기능으로 수신 측과 송신 측 사이가 현재 통신중일 경우 다른 송신 측의 앞의 통신이 다 끝난 후, 재송신하는 기능이다.

그리고 다음의 과정을 통해 동작한다.

Transaction Request → Transaction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data if "write" or "lock") → Transaction indication → Transaction Response → Transaction status information (includes data if "read" or "lock") → Transaction Confirmation

Serial Bus Management는 타이밍 조정, 버스에 있는 모든 디바이스에 전원공급, 모든 시리얼 버스를 관리, 사이클 마스터 , 등시 ID, 오류인지 등의 역할을 각 레이어에 부여한다. 버스 매니지먼트는 IEEE1212 표준 레지스터 구조로 만들어졌다. IEEE1394 인터페이스가 동작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주변기기가 네트워크에 추가되거나, 혹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장치가 네트워크로부터 떨어져 나갔을 때는 네트워크의 구성이 재조정된다. 이때 네트워크에서 전송이 이루어지고 있던 모든 기존 정보는 초기화되고, 전체 네트워크는 동적으로 재구성되며 각각의 노드는 어드레스를 다시 부여받는다. 이 경우 루트 노드도 지정되는데 필요하다면 강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노드를 루트로 지정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루트 노드의 구성이 끝나면 자체 인식 차례가 되어 각 노드들은 네트워크 전체에 걸쳐서 자신의 존재를 다른 노드에게 알려 준다. 이런 식으로 모든 노드의 정보가 수집된 다음 IEEE1394 인터페이스는 정상동작을 시작하기 위한 대기상태로 들어가는 것이다.


   

 




 

 

   

 

참고 10 < Protocol Architecture >  

 

참고  11 < Complete Protocol Stack >

                          

 

 

 

 

 

 

 

참고 12  < NDIS IP/1394 Miniport >

 

Abbreviation(약어)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 Internet protocol(IPv)

MCAP Mulicast channel allocation protocol

EUI-64 Extended Unique Identifier, 64-bits

NDIS Network Device Interface Specification

TDI Transport Driver Interface

 

12. 동작원리

비동기 전송에서는 송신 측에서 수신 측으로 데이터 패킷을 보내고 수신 측이 이 패킷을 받으면 패킷을 받았다는 정보를 송신 측으로 보낸다. 만약 송신 측으로 오류정보가 되돌아오면 송신 측에서는 이 패킷을 초기화 하며, 등시전송에 있어서 송신 측은 그 패킷에 맞는 속도를 등시전송 채널로 받는다. 등시전송 채널 ID를 수신 측으로 보내고, 이 수신 측은 들어오는 데이터의 채널 ID를 검색하고 ID에 맞는 데이터만 받고 애플리케이션은 등시전송에 필요한 채널 수와 속도를 결정한다. 버스는 타이밍 갭의 형태로 되어 있는 프레임 타이밍 인디케이트에 의해 시작 신호를 보내며, 이것은 등기전송 채널 #1, #2에 있는 타이밍 슬롯이 후속으로 이어진다. 그 뒤 남아있는 시간은 비동기 전송에 사용될 수 있도록 대기상태로 남는다. 각각의 등시전송의 채널이 형성되고 난 후 , 버스는 충분한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다.

참고 13

< Cycle Structure >












 

13. IEEE1394의 확장

IEEE1394 무역협회와 IEEE1394.1 연구그룹은 IEEE1394에 많은 새로운 확장을 했다. 다음은 그 종류이다.

⑴ IEEE1394-1995

1985년 애플사에서 자사의 컴퓨터와 주변기기간의 고속 Serial Bus 전송을 위하여 개발한 Firewire 방 식과 유사한 것으로 신호용 4회로와 전원용 2회로로 총 6개 회로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방식이며 표준안 으로 제시되어 있다. 4.5M의 STP cable link로 되어있고 버스마다 64개의 노드를 가질 수 있다. 100, 200, 400 Mbps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STP cable : 금속으로 짠 망이나 외피를 가지고 트위스트 페어를 차폐시킨 케이블. 인접한 트위스트 페어와 환경에서 발생하는 잡음으로부터의 영향을 포함한 외부 전자기적 간섭을 줄여준다.

⑵ IEEE1394a

IEEE1394-1995를 표준안으로 확정한 후에 자체 DC 전원을 가진(배터리 사용 등) AV 기기 간에 Peer to Peer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호스트로 연결하더라도 호스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필요성이 전혀 없는 경우를 위한 표준안으로 4-핀 케이블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방식이다.

Bus arbitration inprovements

Loop detection and correction

Clean-up

⑶ IEEE1394b

IEEE1394b는 아직 표준안으로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검토되고 있다.

- IEEE1394-1995와 IEEE1394a에 대한 호환성

- 케이블 대신에 POF(Plastic Optical Fiber)를 이용한 400Mbps 인터페이스

- Category 5 UTP(Unshield Twisted Pair) 전선을 이용한 100Mbps 인터페이스

- GOF(Glass Optical Fiber)를 이용한 800∼3,200Mbps 인터페이스

- 확장된 거리를 지원(50, 70, 100M)

- AC coupled Media에 대한 지원

- Extended Propagation Delay에 대한 지원

 

※ Category 5 UTP Cable : 전송특성이 100MHz까지 규정된 비차폐 케이블. 음성급에 해당하는 Category 3 UTP Cable이 ft당 3-4개의 트위스트가 있는데 비해 인치당 3-4개의 트위스트로 더 조밀하게 꼬여있다.









                      

참고 14   < IEEE1394b PHY >

⑷ IEEE1394.1

ㆍ디지털 기기와 기기 간의 연결뿐만 아니라 한정된 공간, 특히 주택 내에서 다른 방식의 인터페이스와 IEEE1394 방식의 인터페이스간의 연결을 위한 Bridge에 대한 여러 가지 제안이 검토되고 있다.

Two port architecture

Routes asynchronous and isochronous traffic

Physical loops permitted

Virtual node address mapping

Bus address allocation scheme similar to node addressing

IEEE1394.2는 Gbps 확장 담당 , IEEE1394.3은 버스 브리지 정의 담당









 

참고15      < possible IEEE1394 Home Networking >

14. IEEE1394의 응용과 시제품

IEEE1394는 향후 미래의 컴퓨터 산업 및 멀티미디어 방향에 크게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앞으로의 데이터 전송은 초고속 전송이 될 것이고 이것은 IEEE1394를 통하여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IEEE1394는 본격적인 디지털시대로 급진전하는 현재 시점에서 폭증하는 데이터를 가장 안정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대안으로 등장했다는 점 때문에 영상과 사운드 분야를 중심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현재 IEEE1394규격은 칩 제조업체와 운용체계(OS) 개발회사, PC 주변기기 제조사들을 중심으로 접근이 이뤄지고 있다.

아직 IEEE1394를 지원하는 운영체제는 윈도우 98밖에 없고 이 기술을 지원하는 디바이스도 현재로선 디지탈 캠코더와 카메라, 프린터, CD-ROM 드라이브등 미약한 상태이지만 무한한 잠재력을 지닌 이 기술에 대해 벌써부터 많은 업체들이 이 표준을 따르려고 하고 있다.

세계 PC OS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MicroSoft는 이미 자사의 Windows98과 NT5.0에 IEEE1394 규약을 적용, 빌 게이츠가 천명한 PC와 가전기기의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컴팩과 함께 Device Bay를 추진하고 있다. SCSI Controller를 개발하고 있는 Adaptec도 이미 8940이라는 PCI용 IEEE1394 인터페이스 카드를 개발하고 본격적인 EEE1394시대에 대비하고 있다.

인텔은 최근 IEEE1394 표준을 채택한 메인보드(Digital Creative)를 개발해 개인용 컴퓨터의 활용분야를 넓혀나가고 있다. 또 한국의 삼성전자나 현대전자(MAXTER) 등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업체들도 IEEE1394를 지원하는 제품을 개발하는 등 저장매체와 메인보드 등 컴퓨터 분야에서 IEEE1394를 지원하는 업체가 줄을 잇고 있다. 영상, 사운드 분야에서도 다양한 제품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JVC, 소니 등 일본 전자업체들은 IEEE1394용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플레이어를 개발하고 있으며 NEC사는 이 기술을 수용한 PC용 카메라 개발을 완료했으며 현재 다른 종류의 제품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사운드카드 표준업체인 싱가포르 Creative도 IEEE1394규격 지원을 천명한 상태다.

역시 국내업체들도 최근 IEEE1394를 채용한 제품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대우전자는 IEEE1394를 채용한 위성방송 수신기와 디지털 VTR를 개발중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HDD, 모니터, IEEE1394 칩, 캠코더등에 IEEE1394를 채용했다고 밝혔다. LG전자는 디지털 무비카메라, 디지털 TV 등 대용량, 고속전송을 필요로 하는 영상분야를 중심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하고 적극적으로 개발에 착수하고 있다.

특히 영상, 사운드, 게임, 통신 등 멀티미디어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 디지털 가전 분야에서도 활용도가 많아질 전망이다. `

16. 향후 전망

IEEE1394 버스는 현존하는 대부분의 주변 장비 연결 방식을 능가한다. 또한 향후 사용될 것으로 보이는 주변 기기들의 요구에도 부응한다. 프린터 포트, 시리얼 포트, SCSI, 그리고 심지어는 PCI와 같은 확장 버스나 애플에서 사용하는 데스크탑 버스도 IEEE1394로 통합될 것이다.

특히 IEEE1394에서는 메모리 어드레싱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확장을 위해 슬롯을 사용할 필요가 전혀 없다. 이로써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특히 노트북 컴퓨터나 PDA와 같은 소형 정보 기기에겐 희망을 주기까지 한다. 뿐만 아니라 IEEE1394의 핫플러그, 전원공급 기능, 동적 재배열 기능은 컴퓨터 환경을 사용자 중심으로 만들어 준다. 그저 TV를 보거나 오디오를 듣기 위해서 전원 플러그를 꽂고 전원을 넣기만 하면 되는 정도로 쉽게 컴퓨터 사용 환경이 바뀌는 것이다.

많은 업체들이 IEEE1394를 지원하는 많은 디바이스와 가전기기들을 개발하고 있고. 또한 다른 Serial Bus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2000년대에 무한히 성장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여러 가지 움직임과 IEEE1394 인터페이스의 장점을 볼 때 몇 년 이내에 IEEE1394는 컴퓨터와 영상 기기의 벽을 무너뜨리는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로 확고한 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 16   <IEEE1394 Market >

 

<부록> 용어 설명  

인터페이스

명사로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라는 용어는 다음 중 하나를 의미한다.

다이얼이나, 조이스틱, 컴퓨터나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운영체계의 명령어, 그래픽 표현형식 기타 다른 장치들과 같이, 사용자가 컴퓨터나 프로그램과 의사소통을 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에게 그림을 이용한 의사소통 방법을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UI는 보통 인간 환경공학적으로 보다 만족스럽고, 사용자 편의를 더 강조한 인터페이스이다.

일련의 명령어나 함수, 옵션, 그리고 프로그램 언어에 의해 제공되는 명령어나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로 구성되는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어떤 장치를 커넥터나 다른 장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물리적이거나 논리적인 설비 

동사로서 사용될 때, 인터페이스 한다는 것은 다른 사람이나 객체와 의사소통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특히 하드웨어 장비에 있어 인터페이스 한다는 것은, 두 장비가 효과적으로 교신하거나 함께 일할 수 있도록 적절한 물리적인 연결을 확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병렬 (전송) 또는 패러렐

인터넷이나 컴퓨터 분야에서 말하는 "병렬"이라는 것은 한번에 하나 이상의 사건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보통 직렬과 대비되는데, 직렬은 한번에 오직 한 개의 사건만이 발생하는 것이다.

데이터 전송에서는 시간이나 공간을 분할하는 기술이 사용되는데, 여기서 시분할이란 개별적인 정보의 비트들이 차례대로 보내지는 것을 말하며, 공간분할은 여러 개의 회선이나 통로를 통해 여러 개의 비트들이 병렬로 보내어질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컴퓨터 하드웨어나 데이터 전송 측면에서 직렬접속, 직렬운영 그리고 직렬매체는 보통 단순하고 느린 운영을 가리킨다 (직렬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마우스를 생각해 보라). 그에 반해 병렬접속이나 운영은 많은 량의 데이터가 프린터로 보내지는 것과 같이 빠른 운영을 가리킨다. 하지만 직렬전송을 하는 매체 중에서 광케이블과 같은 것들은 동시에 여러 개의 신호를 병렬로 보내는 매체보다 훨씬 더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직렬전송이 병렬전송보다 느리다는 것이 항상 옳은 얘기는 아니다.

전형적인 전화접속은 일반적으로 직렬회선이라고 간주된다. 왜냐하면 그것의 전송 프로토콜이 대개 직렬이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컴퓨터들이나 프로그램들도 직렬 형식으로 운영된다고 볼 수 있는데, 왜냐하면 그 컴퓨터들은 프로그램을 읽어서 한번에 한 개씩의 명령어를 차례로 수행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컴퓨터들은 명령어를 분할한 다음, 이를 여러 개의 프로세서들을 이용하여 병렬로 처리하는 것들도 있다.   

직렬 (전송) 또는 시리얼

시리얼은 한번에 한가지 사건만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보통 한번에 다수의 사건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는 병렬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데이터 전송에서는 시간이나 공간을 분할하는 기술이 사용되는데, 여기서 시분할이란 개별적인 정보의 비트들이 차례대로 보내지는 것을 말하며, 공간분할은 여러 개의 회선이나 통로를 통해 여러 개의 비트들이 병렬로 보내어질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컴퓨터 하드웨어나 데이터 전송 측면에서 직렬접속, 직렬운영 그리고 직렬매체는 보통 단순하고 느린 운영을 가리키며, 병렬전송은 빠른 운영을 가리킨다. 하지만 직렬전송을 하는 매체 중에서 광케이블과 같은 것들은 동시에 여러 개의 신호를 병렬로 보내는 매체보다 훨씬 더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직렬전송이 병렬전송보다 느리다는 것이 항상 옳은 얘기는 아니다. PC에서 프린터는 보통 병렬 인터페이스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어서 빠르게 프린트된다. 키보드나 마우스는 한쪽 방향으로만 데이터를 보내는 단방향 장치인데, 오직 직렬 인터페이스와 라인만 있으면 된다. 컴퓨터 내부에는 비트 전송이 병렬로 이루어지는 많은 회로들이 있다. 컴퓨터 모뎀은 PC의 COM 포트라고 불리는 직렬접속을 사용한다. PC와 모뎀 그리고 다른 직렬장치들간의 직렬통신은 RS-232C 표준을 따른다. 전통적인 컴퓨터들이나 프로그램들도 직렬 형식으로 운영된다고 볼 수 있는데, 왜냐하면 그 컴퓨터들은 프로그램을 읽어서 한번에 한 개씩의 명령어를 차례로 수행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컴퓨터들은 명령어를 분할한 다음, 이를 여러 개의 프로세서들을 이용하여 병렬로 처리하는 것들도 있다. 

(Plug-and-Play) ; 플러그 앤 플레이

PnP[플러그앤 플레이 또는 피앤피]는 장치를 컴퓨터에 집어넣고, 컴퓨터는 그 장치가 거기에 있음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주는 표준이다. 사용자는 컴퓨터에게 새로운 주변장치가 추가되었음을 말해줄 필요가 없다. 이러한 새로운 능력이 있기 전에는, 전통적으로 운영체계는 추가 장치의 부착내역을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기계장치 구성 내역을 가지고 있어야 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플러그-앤-플레이를 윈도우95 운영체계를 판매하기 위한 홍보전략으로 삼았다. (이와 비슷한 능력이 매킨토시 컴퓨터에는 이미 오래 전에 있었다). 

RS-232C (Recommended Standard 232 Revision C)

RS-232C[알에스 이삼이 씨]는 컴퓨터들과 관련 장치들 간에 비교적 느린 속도의 직렬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물리적 연결과 프로토콜에 관해 기술하고 있는 오래된 표준이다 (현재의 버전이 "C"이다). 이 표준은 원래는 텔레타이프 장치들을 위해 산업계의 업체 모임인 EIA (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에 의해 정의되었다.

RS-232C는 컴퓨터가 모뎀과 같은 다른 직렬장치들과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컴퓨터로부터 나오는 데이터는 보통 마더보드 상에 있는 UART 칩에 의해 DTE 인터페이스로부터 내장(또는 외장) 모뎀이나 기타 다른 직렬장치들로 전송된다. 컴퓨터 내에 있는 데이터는 병렬회로를 따라 흐르지만 직렬장치들ㅗ은 오직 한번에 한 비트씩만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UART 칩이 병렬로 되어 있는 비트들을 직렬 비트 열로 변환시킨다. 모뎀이나 다른 직렬 장치와 RS-232C 표준에 입각하여 통신하는 PC의 DTE 에이전트도 역시, DCE 인터페이스라고 불리는 보완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P2P (peer-to-peer) ; 동등 계층 (통신)

Peer-to-peer[피어 투 피어]는 각 컴퓨터가 동등한 능력을 가지고 있어, 어떤 컴퓨터에서라도 통신 세션을 시작할 수 있는 통신 모델을 지칭한다. Peer-to-peer를 우리 말로는 동등 계층 통신이라고도 부르는데, 그 뜻에는 네트웍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컴퓨터들이 서로 대등한 동료의 입장에서 데이터나 주변장치 등을 공유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개념과 대비되는 다른 모델로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또는 마스터/슬레이브 모델 등이 있다.

IBM의 APPN (Advanced Peer-to-Peer Networking)은 peer-to-peer 통신 모델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제품이다. 

backplane

Backplane은 회로와 소켓을 포함한 전자회로 보드로서 네트웍 장비에서는 샤시형 구조 혹은 모듈러 타입 장비에서 인터페이스 모듈을 backplane의 소켓에 장착하여 전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다. 컴퓨터에서는 일반적으로 마더보드의 한 부분으로 구성되거나 마더보드 그 자체로 볼 수도 있다.  

point-to-point ; 점대점

물리적으로, 중개 장치를 통과하지 않고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가는 채널이다. 논리적으로는 두 장비간의 통신을 말한다. 이 방식은 한 개의 터미널이 하나의 회선만으로 컴퓨터에 연결되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며, 또한 한 개의 터미널은 통신 제어 장치 내에 있는 하나의 접속 포트와 두 개의 모뎀을 필요로 한다. 이 방식은 컴퓨터와 터미널간에 계속적으로 대화를 나누며 빠른 응답을 필요로 하는 경우와 컴퓨터 시스템이 다른 대형 컴퓨터에 연결되어 터미널처럼 사용되는 경우에 주로 이용된다.

이와 대비되는 방식으로 다중점 연결방식이 있다. 

asynchronous (transmission) ; 비동기식 전송

에디터 내에 동기신호를 포함시켜 데이터를 전송한다. 송신측의 송신 클록에 관계없이 수신신호 클록으로 타임 슬롯의 간격을 식별하여 한번에 한 문자씩 송수신한다.

 이때 문자는 7~8 비트로 구성되며, 문자의 앞에 시작비트 (start bit)를, 끝에는 정지비트 (stop bit)를 첨가해서 보내는 방법이다. 비동기식 전송은 시작비트와 정지비트 사이의 간격이 가변적이므로 불규칙적인 전송에 적합하다. 또한 필요한 접속장치와 기기들이 간단하므로 동기식전송 장비보다 값이 싸다는 장점이 있다. 

 

 

   

isochronous ; 등시성 (전송)

정보기술에서, 등시성 (等時性) 전송은 음성이나 디지털 비디오 전송과 같이,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타이밍 조정이 필요한 프로세스들에 알맞다. 컴퓨터 주변장치나 네트웍으로부터 컴퓨터나 TV에 전송되는 사운드나 그림은 원래의 데이터 흐름과 거의 같은 속도로 도착할 필요가 있다.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주변장치로부터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컴퓨터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급할 때, 등시성 데이터 전송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미지 데이터를 받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능력과 거의 같으면서, 한결같은 속도로 데이터 흐름이 계속되는 것을 보장한다 (FireWire, the IEEE 1394 High Performance Serial Bus에 등시성 인터페이스가 포함되어 있다).

등시성 전송 방식은 종속적인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를 중단시켜야만 할 때까지 서로 독립적으로 계속되는 프로세스들에 알맞은 비동기식이나, 또 프로세스가 계속되기 전에 다른 프로세스의 이벤트가 끝나기를 기다려야만 하는 동기식과 구별될 수 있다. 

PCI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피씨-아이]는 고속운영을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가깝게 위치해 있는 확장 슬롯들에 부착된 장치들 간의 상호접속 시스템이다. PCI를 사용하면 컴퓨터는 새로운 PCI 카드들과, 현재 가장 일반적인 확장카드의 종류인 ISㅗA 확장카드를 함께 지원할 수 있다. 인텔에 의해 설계된 초기의 PCI는 VESA 로컬버스와 비슷했지만, PCI 2.0부터는 더 이상 로컬버스가 아니며,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자인과는 독립적으로 설계되었다. PCI는 20~33 MHz 범위의 마이크로프로세서 클록 속도에 동기화 되도록 설계되었다. PCI는 이제 인텔 펜티엄 프로세서 기반의 시스템은 물론, PowerPC 기반의 시스템을 비롯한 대부분의 새로운 데스크탑 컴퓨터에 설치되었다. PCI는 124 핀의 접속으로 한번에 32 비트를 전송하며, 확장된 제품인 188 핀 접속에서는 64 비트를 전송한다. PCI는 주소와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모든 동적 경로들을 사용하며, 첫 번째 클록 사이클에 주소를 보내고 그 다음에 데이터를 보낸다. 많은 량의 데이터를 보낼 때에는 첫 번째 사이클에 시작 주소를 보낸 다음, 이어지는 일정횟수의 사이클 동안 계속해서 데이터 전송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nohbg 2003.6.4 any web.>

[ 출처 http://nohbg.hihome.com/interface/ieee1394/ieee1394.htm ]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장 TCP/IP Overview  (0) 2007.04.24
IEEE 1394  (0) 2007.04.19
UDP [user datagram protocol]  (0) 2007.03.27
Posted by Real_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