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antor dust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프랙탈은 Cantor dust(칸토어의 먼지)로 알려져 있다. 이 프랙탈의 자기반복성은 주어진 선분을 삼등분하여 각 단계에서 가운데의 작은 선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몇 단계가 지난 후에 '먼지(dust)'처럼 남는 것이 거의 없다.


Purina Dog Chow

사용자 삽입 이미지
  'Purina Dog Chow'로 알려진 이 프렉탈은 내부가 채워진 정사각형에서 시작한다. 정사각형의 각 변을 삼등분하고, 정사각형의 각 변들에게 평행하게 그 점들을 연결한다. 구석의 4개의 작은 정사각형과 가운데의 작은 정사각형을 제외하고 나머지 것들은 제거한다. 이러한 과정을 각 단계에서 계속한다.


Koch snowflak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보여진 프렉탈은 Helge von Koch의 이름을 따서 '코흐 눈송이(Koch snowflake)' 라 한다. 이것은 정삼각형에서 시작한다. 각 변을 삼등분하자. 각 변에서 삼등분된 것 중 가운데 것을 제거하고 대신에 제거된 조각과 합동인 두 개의 선분으로 그것을 대처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시에르핀스키 삼각형(The Sierpinski triangle)


  아래 그림은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또는 시에르핀스키 캐스킷(gasket)이라 불리는 프렉탈을 나타낸 그림이다.
  1917년경 이것을 제시한 폴란드의 수학자
바츨라프 시에르핀스키의 이름을 딴 것이다.
  시어핀스키 삼각형은 불규칙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규칙적인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색칠되어져 있는 임의의 정삼각형에서 시작하자.
     2. 주어진 삼각형의 변의 중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을 그려 합동인 4개의 작은 정삼각형을 만든다.
     3. 가운데 있는 작은 정삼각형을 제거하여 3개의 정삼각형만 남긴다.
         이 때, 작은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처음 삼각형의 1/2이고 넓이는 1/4이다.
     4. 남아있는 3개의 색칠되어진 정삼각형들에서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시행한다.
     5. 이런 과정을 무한히 되풀이하면 평면상에 점들의 집합이 나타나는 데 이것이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다.

  각 단계별로 생기는 삼각형의 수를 살펴보면 0단계에서 1개, 1단계에서 3개, 2단계에서 9개가 남는다. 다음 3단계에서 27개의 작은 삼각형이 생기고, 4단계에서 81개가 생긴다.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 n단계에서는 3^n개의 작은 삼각형들이 남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n단계 후에 생기는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처음에 주어진 변의 길이의 정확히 1/2^n이다.

반응형

'Computer_Graph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선 벡터 구하기  (0) 2007.03.14
시어핀스키 삼각형  (0) 2007.03.14
OpenGL 초기화  (0) 2007.03.14
Posted by Real_G